예년에 비해 새로운 선수들 대거 입성 ,
모든 선수를 기량 매우 뛰어나고,
남자 결승전은 몇 초의 시간차로 승부 엇갈려,
제7회 전국 아이스클라이밍 선수권 대회가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설악산 매바위 인공빙벽 에서 2008년 1월12일부터 13일 까지 눈보라의 악천후 속에서 2일에 걸쳐 치러졌다.
여자 난이도 결승전에서는 '강원도 적십자구조대' 소속의 정운화 선수가, 예선전에서 1,2,3위를 차지한 선수를 모두 제치고 1위의 영광을 안았다.토요일 예선전에 이어 일요일 결승전의 생생한 모습을 취재하기 위해 선수들과 함께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6/14_14_26_26_blog104629_attach_0_95.jpg?original)
빙벽등반 대회는 어떻게 할까?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물론 등반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이라면 아래 순위표 정도만 확인하고 넘어가기 바라며 이 글은 대회를 처음 접하는 일반 사람들을 위해 어떻게 미끄러운 얼음벽을 올라가는 대회를 하는지 아래 함께 알아보기로 하자.
아이스 바일이란?
흔히 아이스바일 또는 피켈이라고 부르며 요즘은 거의 바일이라고 칭한다. 우선 미끄러운 얼음벽을 찍으면서 올라가자면 손과 발에 날카로운 그 무엇이 있어야 하는데, 그래서 나온 것이 바로 피켈이라는 앞에는 날카로운 칼날과 뒤쪽에는 얼음에 쇠못을 박을 수 있는 망치가 뒤에 붙어 있는 피켈이 나왔으며, 요즘에는 뒤에 망치 형태가 거의 없고 앞의 뾰쪽한 톱니 모양의 칼날 처럼 생긴 것으로 얼음을 찍어 그 지지력으로 당기면서 올라가는 도구이다.
빙벽화와 빙벽등반용 아이젠
일반적인 등산화와 달리 발끝으로 빙벽의 경사면을 지지해야 하므로 딱딱하고 구부려지지 않는 신발로, 예전에는 플라스틱 신발이라고도 불렀으며 그 아래 빙벽용 아이젠을 착용하게 된다. 일반적인 산행에서 사용하는 아이젠과 달리 앞에 뾰쪽하고 날카로운 칼날이 나와 있으며 이 부분으로 얼음을 차면 그 부분이 얼음에 박혀 그 지지력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올라 갈 수 있다. 이 빙벽화는 선수용 빙벽화이다.아이젠을 따로 장착하지 않고 바로 빙벽화에 일체형으로 제작되었으며 매우 가볍고 날렵하게 고난이도 빙벽등반이 가능하다.
아이스 스크류의 모습
스크류는 얼음에 대고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얼음 속으로 나사 형태로 되어 있어 쉽게 파고 들어간다.가운데가 텅 비어있어 그 사이로 파여 들어간 얼음 조각들이 나오게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선등시 자신의 확보를 위해 필요하며 이번 대회에서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선수 보호를 위해 톱로핑 등반(톱 위치에 확보지점에 로프를 걸어놓고 두레박 형태로 등반하는 방식) 을 하므로 여기에서는 이 정도로 해 두겠다.
그 밖의 장비
그리고 일반적으로 암벽등반에 사용하는 장비를 사용한다.안전벨트 ,헬멧,그리고 아이스 로프등과 확보 장비등 또한 모든 선수들은 반드시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만약에 장갑을 사용하지 않고 경기를 시작하면 그 선수는 출전 자격을 박탈당하게 된다.
이번 대회에서는 여자 결승전에서는 루트 파인딩 시간을 4분과 등반 시간이 5분 주어졌으며 남자부에서는 5분의 루트파인딩 시간과 7분의 등반시간이 주어졌다.
선수들이 올라가야 할 각 루트의 모습이다.빨간 페인트와 파란 페인트로 그려져 있는 여려 형태의 루트들
결승전에 진출한 8명의 여자부 선수들 모습 선수 대기실에서 천막 와이어에 거꾸로 매달려 몸 풀고 있는 선수모습 전날 내린 눈으로 모든 루트에 빗자루로 눈을 쓸어내고 있는 운영위원 모습 낙빙의 위험을 무릅쓰고 선수의 바로 밑에서 찍어본 경기모습 참으로 위험천만이다.
이번 대회에서는 남자부에서 59명과 여자부에서 20명 총79명의 선수들이 참가하였으며, 남자부는 A조와 B조로 나누어 최종 결승진출자를 각각 8명씩 선발했고, 여자부는 8위까지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눈이 많이 내리는 가운데 열리는 대회인 만큼 각 루트에 쌓인 눈을 쓸어내기 위해 빗자루를 달고 있는 심판의 모습과 그 아래에서 경기를 하고 있는 선수의 모습을 밑에서 찍어 보았다.이날 대회는 낙빙의 위험이 있어 취재진의 경기장 가까이 접근이 허용되지 않았다. 망원렌즈의 필요성이 절실히 느껴지는 대목이기도 하였다.(바로 밑에서 어렵게 찍은 등반 사진)
여자부 우승을 차지한 강원도 적십자구조대 소속의 정운화 선수의 경기 모습이다. 예선전에서 4위에서 결승전에서 1위를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6/14_14_26_26_blog104629_attach_1_100.jpg?original)
자 여기서 선수의 시선을 한번 보자 선수의 시선 따라 바위면에 보면 파란 페인트로 동그랗게 칠해져 있는 부분이 보인다.이곳과 현재 오른발을 대고 있는 부분이 바로 발을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곳은 아이젠의 뾰쪽한 부분이 박힐 수 있도록 구멍이 나 있으며 선수는 이곳을 의지해 오름짓을 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6/14_14_26_26_blog104629_attach_1_101.jpg?original)
이곳은 믹스(얼음이 아닌 바위 또는 나무나 흙 등으로 된 혼합구간)구간으로 등반에서 꼭 한두 군데 존재하기도 한다.물론 여기서 다른 곳을 발로 밟거나 바일로 타격하게 되면 탈락하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5/14_14_26_26_blog104629_attach_1_109.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6/14_14_26_26_blog104629_attach_1_102.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4/14_14_26_26_blog104629_attach_1_133.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5/14_14_26_26_blog104629_attach_1_110.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4/14_14_26_26_blog104629_attach_1_134.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6/14_14_26_26_blog104629_attach_1_103.jpg?original)
참가한 선수들과 모든 사람들이 참가한 푸짐한 경품 추첨이 시작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6/14_14_26_26_blog104629_attach_1_105.jpg?original)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4/14_14_26_26_blog104629_attach_1_135.jpg?original)
남자부 1위 강형완(노스페이스 클라이밍팀 2위 김명수(경남정보대학 산악회) 3위 최원일(인천클라이밍센터) 선수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5/14_14_26_26_blog104629_attach_1_111.jpg?original)
제7회 전국 아이스클라이밍 선수권대회
남자 난이도 부분 종합 성적표
순위 |
이름 |
시도 |
소속 |
배번 |
예선 |
결승 |
비고 |
1 |
강형완 |
인천 |
노스페이스클라이밍팀 |
150 |
TOP |
TOP |
4.26 |
2 |
김명수 |
부산 |
경남정보대학 산악회 |
125 |
5-2 |
TOP |
5.47 |
3 |
최원일 |
인천 |
인천 클라이밍센터 |
144 |
5-4 |
TOP |
5.51 |
4 |
손창현 |
대구 |
파워클라이밍 센터 |
128 |
4-2 |
TOP |
5.53 |
5 |
한정희 |
서울 |
광운 OB산악회 |
114 |
TOP |
TOP |
6.03 |
5 |
김대우 |
경북 |
포항 김대우 암벽교실 |
169 |
5-8 |
TOP |
6.03 |
7 |
이창헌 |
서울 |
노원클라이밍팀 |
109 |
5-3 |
TOP |
6.27 |
8 |
정원조 |
서울 |
대주산악회 |
108 |
5-1- |
15-4 |
|
9 |
유영직 |
대구 |
파워클라이밍센터 |
129 |
3-8- |
14-3 |
|
10 |
권영혜 |
경기 |
수원M2클라이밍클럽 |
161 |
5-6- |
14-2 |
여자 난이도 부분 종합 성적표
순위 |
이름 |
시도 |
소속 |
배번 |
예선 |
결승 |
비고 |
1 |
정운화 |
강원 |
적십자구조대 |
223 |
5-7- |
5-6 |
|
2 |
신운선 |
대구 |
파워클라이밍센터 |
207 |
TOP |
4-1- |
|
3 |
이정옥 |
대구 |
파워클라이밍센터 |
206 |
5-9 |
4-1- |
|
4 |
임혜경 |
대전 |
대전클라이밍센터 |
217 |
TOP |
2-8- |
|
5 |
박민아 |
인천 |
인천클라이밍센터 |
216 |
5-1 |
2-6 |
|
5 |
김경옥 |
경기 |
평택클라이밍센터 |
219 |
5-3- |
2-5 |
경고 |
7 |
김영희 |
대구 |
성서클라이밍센터 |
208 |
5-4- |
2-5- |
|
8 |
안신영 |
서울 |
알파인클럽 |
204 |
5-6- |
1-3 |
경고 |
9 |
지주연 |
서울 |
Four teen A클럽 |
202 |
4-2 |
||
10 |
김숙경 |
인천 |
인천 클라이밍센터 |
215 |
4-2- |
이 자료가 더 필요하거나 스크랩을 원하는 산악회나 단체는 다음 블로그 아래 주소에서 스크랩 할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gosan59/13555711 이 자료 스크랩 할 수 있는곳 바로가기